커밋 유형 지정
- FEAT : 새로운 기능의 추가
- FIX: 버그 수정
- DOCS: 문서 수정
- STYLE: 스타일 관련 기능(코드 포맷팅, 세미콜론 누락, 코드 자체의 변경이 없는 경우)
- REFACTOR: 코드 리펙토링
- TEST: 테스트 코트, 리펙토링 테스트 코드 추가
- CHORE: 빌드 업무 수정, 패키지 매니저 수정(ex .gitignore 수정 같은 경우)
stream
- upstream : origin(remote)로 연결
- origin : 깃허브(remote)에 존재하는 repo, origin 이라는 별명을 붙혔음
- -u : —set-upstream 설정한가는 옵션 (업스트림, 다운스트림 관계 명시하여 다음부터는 옵션하지 않아도 pull, push 가능)
- downstream : local로 연결

명령어
- git merge development (rebase development) : development branch와 병합
# development 브랜치 최신화
git checkout development
git pull origin development
# bbb 브랜치로 이동
git checkout bbb
# development 브랜치 병합
git merge development
- pull-commit-push
- pull : 저장소에 있는 코드를 당겨오다
- commit : 내 코드를 저장포인트를 찍다
- git commit -m "FEAT #0 create user read controller code"
- push : 내 코드를 밀어넣다
관리순서
- sprint-issue-PR
- sprint : 하나의 기능/ 목표
- issue : sprint을 만들기 위한 개발 단위 또는 수정/개발 사항의 하나의 단위
- PR(Pull Request) : 병합 요청
- branch-fetch-merge
- branch : 형상관리 할 코드에 새로운 분기를 생성
- fetch : remote 최신 상황 확인
- merge : 코드 병합